TOP
레드햇 리눅스 서버 초급과정 - RHCSA (Red Hat Certified System Administrator)
훈련목표
커리큘럼
과목명 | 상세교육내용 |
RHCSA (Red Hat Certified System Administrator) |
명령줄 액세스 Linux 시스템에 로그인하고 shell을 사용하여 간단한 명령 실행 명령줄에서 파일 관리 bash shell 프롬프트에서 파일을 복사, 이동, 작성, 삭제 및 정리 Red Hat Enterprise Linux 내에서 지원 받기 온라인 도움말 시스템 및 Red Hat 지원 유틸리티를 이용한 문제 해결 텍스트 파일 생성, 보기 및 편집 명령 출력 또는 편집기에서 텍스트 파일 생성, 보기 및 편집 로컬 Linux 사용자 및 그룹 관리 로컬 Linux 사용자 및 그룹을 관리하고 로컬 암호 정책 관리 Linux 파일 시스템 권한을 통해 파일 액세스 제어 파일에 대해 Linux 파일 시스템 권한을 설정하고 상이한 권한 설정에 따른 보안 영향 해석 Linux 프로세스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얻으면서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 제어 서비스 및 데몬 제어 systemd를 이용해 네트워크 서비스 및 시스템 데몬 제어 및 모니터링 OpenSSH 서비스를 구성 및 보호 OpenSSH를 사용해 원격 시스템의 명령줄에 안전하게 액세스할 뿐만 아니라 이 명령줄에 대한 보안 액세스 권한 제공 로그 분석 및 저장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관련 시스템 로그 파일을 찾고 정확하게 해석 Red Hat Enterprise Linux 네트워킹 관리 Red Hat Enterprise Linux 시스템에서 기본 IPv4 네트워킹 구성 시스템 간 파일 보관 및 복사 파일을 보관하고 한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 복사 소프트웨어 패키지 설치 및 업데이트 Red Hat 및 yum 패키지 repository에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다운로드한 후에 설치, 업데이트 및 관리 Linux 파일 시스템 액세스 Red Ha Kickstart로 설치 자동화 Kickstart를 사용하여 Red Hat Enterprise Linux 시스템 자동 설치 grep으로 정규 표현식 사용 정규 표현식을 작성할 때 grep을 함께 사용하면 텍스트 파일 내에 있는 컨텐츠를 신속 분리 및 탐색 vim으로 텍스트 파일 생성 및 편집 텍스트 파일을 열고, 편집하고, 저장할 수 있는 vim 텍스트 편집기 소개 향후 Linux 작업 예약 향후 자동으로 실행되는 작업 예약 Linux 프로세스 우선 순위 관리 Linux 프로세스를 실행할 상대적 우선 순위에 영향 ACL(액세스 제어 목록)로 파일 액세스 제어 POSIX ACL을 사용해 파일 보안 관리 SELinux 보안 관리 네트워크 서비스 손상 시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시스템의 SELinux(Security Enhanced Linux) 동작 관리 네트워크 정의 사용자 및 그룹 연결 중앙 ID 관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성 디스크, 파티션 및 파일 시스템을 Linux 시스템에 추가 단순한 파티션 및 파일 시스템 관리 LVM(논리 볼륨 관리) 스토리지 관리 명령줄에서 논리 볼륨 관리 NFS(네트워크 파일 시스템)를 사용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토리지에 액세스 (보안) NFS 공유에 액세스 SMB를 사용해 네트워크 스토리지에 액세스 autofs 및 명령줄을 사용하여 SMB 파일 시스템 마운트 및 분리. Red Hat Enterprise Linux 부팅 프로세스 제어 및 문제 해결 방화벽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 제한ㅍ 기본 방화벽 구성 종합 복습 습득한 지식 및 기술 실습 및 시연 |
온라인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