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큘럼
교육명 |
CCIE R & S 시험대비반 |
교육일정 |
주말 /1차- 3.17(토)~4.15(일) - 마감
주말 /2차- 6.16(토)~7.15(일) - 접수중 |
교육시간 |
75시간 |
훈련정원 |
15명 |
교육비용 |
2,000,000원 1,200,000(무료재수강혜택) |
교육개요 |
- 컴퓨터 네트워킹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시행된 Cisco기술공인 프로그램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네트워크 최고급 자격증(CCIE Routing & Switch)을 공부하고 취득하는 과정입니다. CCIE R&S 정규과정은 CCIE R&S Blueprint 기반으로 출제되는 모든 Object를 이론 중심으로 Review 하는 과정으로 프로토콜에 대한 개요와 동작 방식, 문제 해결의 요령 등을 학습하도록 개발되었습니다. CCIE Routing & Switching은 가장 보편화된 CCIE 트랙으로 CCIE R&S에 관련된 이론을 정리하고, 다양한 실습을 통해 CCIE LAB 시험에 대비한 완벽한 준비와 CCIE R&S에 출제되는 문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기술을 경험하고 숙달함으로써 실제 시험에서 최대한의 능력을 발휘해서 목표로 하는 CCIE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입니다.
|
교육목표 |
- ▪ CCIE R&S 자격증 취득에 대한 완벽 준비
- ▪ IGP(RIP, EIGRP, OSPF)에 대한 고급 기술 학습
- ▪ BGP에 대한 기초 및 각종 조정기술 습득
- ▪ 이더넷 스위치 심화 학습(VTP, STP, RSTP, MSTP, STP 조정 및 보호기술, EtherChannel, Switch 보안 등)
- ▪ 차별화된 서비스를 위한 Quality of Service 이론 및 실습
- ▪ 실시간 방송을 위한 Multicast 이론 및 실습
- ▪ 보다 빠른 스위칭을 위한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에 대한 기초 및 이론, 다양한 실습
- ▪ 각종 트러블에 대한 기초 이론 및 확인 방법 및 트러뷸 슈팅 방법
|
교육대상 |
- ▪ CCIE 자격증 취득과 네트워크 관련 업체 취업 및 이직 준비자
- ▪ 선수과목으로 CCNP(Routing & Switch) 2개월 과정을 권장합니다.
- ▪ CCIE 자격증 취득을 원하는 사람
- ▪ 네트워크회사에서 보다 빠른 승진 및 기술습득을 바라는 사람
- ▪ 네트워크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 및 기술 교육을 원하는 사람
- ▪ CISCO 파트너 회사로서 자격 유지 및 자격 승격을 원하는 회사의 일원
- ▪ 네트워크 분야로의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
|
커리큘럼
주차별 |
주제 |
소주제 |
교육내용 |
1주차 |
이론 Bridging and Switching |
VTP & VLAN |
▪ VTP & VLAN
▪ Inter-VLAN & VLAN 라우팅
▪ Native VLAN & Voice VLAN |
Frame-Relay |
▪ Frame-Relay 스위치 구성
▪ Frame-Relay PVC & Inverse-ARP
▪ Frame-Relay 동적 설정
▪ Frame-Relay 정적 설정
▪ 서브-인터페이스를 이용한 Frame-Relay 설정
|
STP & Etherchannel & Switch Feature |
▪ IEEE 802.1d STP/IEEE 802.1w RSTP/IEEE 802.s MSTP
▪ STP를 이용한 VLAN 로드 분산
▪ STP를 이용한 네트워크 보호 기술
▪ L2 이더체널 & L3 이더체널
▪ 스위치 기능 & IP Phone 연결 설정
▪ SPAN & Remote SPAN & Dot1q Tunneling
|
IP IGP Protocols |
RIP 라우팅 프로토콜 |
▪ RIPv1 & RIPv2
▪ RIP 특징과 구성 방법
▪ RIP 장애 처리
|
EIGRP 라우팅 프로토콜 |
▪ EIGRP 특징과 구성 방법
▪ EIGRP 요약 & EIGRP 토폴로지 & Dual 알고리즘 이해
▪ 균등 로드 분산 & 비균등 로드 분산
▪ EIGRP SIA 현상과 방지 대책
|
실기 LAB |
Configuration LAB 01 |
Configuration LAB 유형 1 실습 및 설명 |
2주차 |
IP IGP Protocols |
OSPF 라우팅 프로토콜 |
▪ OSPF 특징과 구성 방법
▪ OSPF 네이버 테이블 &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 해석
▪ OSPF 네트워크 환경 특징
▪ OSPF LSDB 이해 & LSA 광고 유형 분석
▪ OSPF Stub/Totally Stubby/NSSA Area 구성
|
라우팅 조정 |
재분배 & 경로 필터링 & 라우팅 정책 |
▪ 라우팅 재분배 구현
▪ ‘prefix-list', 'distribute-list', 'offset-list', 'access-list'
▪ ‘redistribute‘을 이용한 라우팅 재분배
▪ ‘route-map'을 이용한 라우팅 정책
|
IPv6 |
IPv6 |
▪ IPv6 Address 특징 & IPv6 설정 방법
▪ RIPng/OSPFv3/EIGRP 설정
▪ IPv6 Tunneling 구성
|
IP BGP Protocol |
BGPv4 라우팅 프로토콜 |
▪ BGPv4 라우팅 프로토콜 이해
▪ IBGP & EBGP
▪ BGP 경로 필터링과 BGP 라우팅 정책
▪ BGP 속성 유형
|
실기 LAB |
Configuration LAB 02 |
▪ Configuration LAB 유형 2 실습 및 설명
|
3주차 |
MPLS |
MPLS LDP |
▪ Label 스위칭 이해
▪ MPLS LDP 특징과 구성 방법
▪ PE/CE/P 라우터 구성
|
VRF & MPLS VPN |
▪ VRF 이해
▪ MPLS VPN 구성
▪ MPLS VPN Static/EIGRP/OSPF/EBGP
|
Multicast |
Multicast |
▪ IP 멀티케스트 라우팅 이해
▪ IGMP/CGMP/IGMP Snooping 이해
▪ PIM 기능을 이용한 멀티케스트 라우팅 환경 구성
▪ MSDP 프로토콜 이해와 Multicast GRE Tunnel
▪ IPv6 Multicast 구성
|
Network Security |
AAA |
▪ AAA 구성과 ACS 서버 사용 방법
▪ 라우터 로컬 인증
▪ TACACS+ 서버/RADIUS 서버
|
ACL |
▪ ACL 특징
▪ Standard ACL/Extended ACL/Named ACL
▪ Reflexive ACL/Dynamic ACL/CBAC
|
스위치 보안 NAT & DHCP |
▪ Cisco Catalyst 스위치 보안 기능
▪ NAT을 이용한 네트워크 보호
▪ DHCP 구성과 DHCP 스푸핑 공격 방지 대책
|
실기 LAB |
Configuration LAB 03 |
▪ Topology 3 설명 및 풀이
|
4주차 |
Cisco IOS Feature |
기본게이트웨이 이중화 |
▪ HSRP를 이용한 기본 게이트웨이 이중화
▪ VRRP를 이용한 기본 게이트웨이 이중화
▪ GLBP를 이용한 기본 게이트웨이 이중화
|
IP Service Telnet & SSH NTP |
▪ WCCP/TFTP/FTP/RCP 구성
▪ 시스템 관리를 위한 툴
▪ TELNET/SSH/HTTP Management/NTP
|
QoS |
QoS 개요 IP 패켓 마킹 대역폭 제어 |
▪ QoS 필요성
▪ IP 패켓 분류 & 마킹
▪ 혼잡 관리와 혼잡 제어
▪ 폴리싱과 쉐이핑 구성
|
MQC 구문 큐잉 정책 |
▪ 큐잉 정책
▪ FIFO/WFQ/Priority Queuing/Custom Queuing
▪ WRED 구성, RSVP 프로토콜
▪ MQC 구문을 이용한 QoS 설정
▪ CBWFQ/LLQ
▪ 스위치 QoS 설정 방법
|
Optimize Network |
Optimize Network |
▪ Syslog 구성
▪ SNMP 구성, RMON 구성
▪ IP Accounting, IP SLA, NetFlow
|
실기 LAB |
Trouble Shooting LAB 01 DIAG LAB |
▪ Trouble Shooting 유형 1 실습 및 설명
▪ DIAG LAB 실습 및 설명
|
5주차 |
실기 LAB |
Trouble Shooting LAB 01 DIAG LAB |
▪ Trouble Shooting 유형 1 실습 및 설명
▪ DIAG LAB 실습 및 설명
|